부처별보도자료

직장 내 성희롱,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요?

본문

btn_textview.gif

직장 내 성희롱 신고 후에도 고통이 지속돼요. 어떻게 하죠?

직장 내 성희롱 신고 후에도 고통이 지속돼요. 어떻게 하죠?

직장 내 성희롱 신고 후에도 고통이 지속돼요. 어떻게 하죠?

직장 내 성희롱 신고 후에도 고통이 지속돼요. 어떻게 하죠?

직장 내 성희롱 신고 후에도 고통이 지속돼요. 어떻게 하죠?

직장 내 성희롱 신고 후에도 고통이 지속돼요. 어떻게 하죠?

DJ 늘봄이의 노동법이 빛나는 고민상담소!

Q. 늘봄 DJ님! 제가 상사의 지속적인 성희롱을 회사에 신고하여 가해자에게 감봉 징계처분이 나왔습니다. 그러나 그 후 저는 가해자와 분리는 커녕 같은 프로젝트에 팀원으로 배치되어 괴로운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. 이런 상황에서 제가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?
A. 마이크 첵첵.. 오늘은 직장 내 성희롱 2차 피해에 대해 묻는 사연이네요. 오늘의 노동법 고민 늘봄이가 해결해 드릴게요!

Q. 직장 내 성희롱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요?
A.
[현명한 초기대응으로 증거확보를!]
- 피해를 당한 즉시 대응
- 피해사실, 불쾌감을 가해자에게 명확히 전달(문자/메일)
- 가해자에게 사과 요구(단순사과 X, 녹취·문자 O)
주의: 이때 흥분하여 가해자에게 폭언 금지!

[회사에 알리세요!(필요시 형사 고소)]
- 누구나 사업주에게 신고 가능
- 사업주는 지체없이 조사할 의무 + 조사과정에서 피해자 보호·비밀유지 의무
사업주 의무 위반시 500만원 이하 과태료 부과

Q. 회사의 불합리한 조치로 괴로운 나날을 보내고 있습니다.
A. 불리한 처우! 참지말고 대응 하세요!
- 파면, 해임, 해고 등 불이익 조치
- 징계, 정직, 감봉, 강등, 승진 제한 등 부당한 인사조치
- 직무 미부여, 직무 재배치 그 밖에 본인의 의사에 반하는 인사조치
- 성과평가 또는 동료평가 등에서 차별, 그에 따른 임금 또는 상여금 등의 차별 지급
- 직업능력 개발 및 향상을 위한 교육훈련 기회의 제한
- 집단 따돌림, 폭행 또는 폭언 등 정신적·신체적 손상을 가져오는 행위를 하거나 그 행위의 발생을 방치하는 행위
- 그 밖에 신고를 한